정보 공유/심리학의 이해41 프레이밍 / 액자효과 (Framing effect)의 뜻과 예시 물이 절반가량 들어 있는 컵을 보고 A는 ‘절반 밖에 안 남았다’고 하고, B는 ‘절반씩이나 남았다’고 한다. A와 B가 동일한 상황을 보고 다른 판단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Looking at the cup containing about half of the water, A said, "There is only half left," and B said, "Half left." Why do A and B see the same situation and make different judgments? 이 예는 같은 사물이라도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런 현상을 심리학에서는 프레이밍 / 액자효과 (Framing effect)라고 한다. This example indi.. 2021. 11. 11. 초점 효과 (Focusing effect)의 뜻과 예시 초점 효과 (Focusing effect)란 인간의 마음이 결정을 내릴 때 특정한 제한된 요소들에 너무 많은 중점을 두는 방식이다. 우리는 어떤 것을 평가하거나 선택할 때 아마도 더 중요하지만 덜 구별되는 많은 요소들을 고려하는 대신, 소수의 주류 또는 더 선정적인 정보에만 가치를 인식하고 가치를 둔다. 이는 판단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종종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는 평가를 초래한다. The focusing effect is a way in which the human mind places too much emphasis on certain limited factors when making decisions. Instead of considering many factors that are probably mo.. 2021. 11. 10. 초점주의 (Focalism)의 뜻과 예시 초점주의 (Focalism)란 현재 눈앞에 벌어지는 특정 사건에 과도하게 초점을 둔 나머지 그 사건과 함께 벌어지고 있는, 혹은 앞으로 벌어질 다른 일들에 대해 잊어버리는 습성을 말한다. Focalism refers to the habit of focusing excessively on a specific event that is currently happening in front of you and forgetting about what is happening with it or other things to come. 쉽게말하면 ‘나무만 보고 숲을 보지 못한다’는 말처럼 부분에 집착하여 전체를 제대로 보지 못한다는 뜻이다. 우리는 무슨 결정을 하거나, 한 번 내뱉은 말에 대해 나중에 자주 후회하곤 한다.. 2021. 11. 9. 기능적 고착화 (Functional fixedness)의 뜻과 예시 기능적 고착화 (Functional fixedness)란 한 대상이나 물건에 대하여 기존에 사용해 오던 방식으로만 사용하도록 한정시키는 인지 편향(cognitive bias)을 말한다. Functional fixedness refers to a coherent bias that limits one object or object to use only in the existing way. 예를 들어, 문서가 날리지 않도록 눌러주는 서진(書鎭, paperweight)이 필요한 상황에서 망치만 있는 경우, 망치를 서진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간과한다. 이 때 기능적 고착이란 망치를 못 박는 것 이외에 다른 용도로 바라볼 줄 아는 능력이 결여된 것을 말한다. 즉 망치를 기존의 기능 이외에 다른 방식으로 사용.. 2021. 11. 7. 합의성 착각 효과 (False-consensus effect)의 뜻과 예시 합의성 착각 효과 (False-consensus effect, 잘못된 합의효과)란 리더들이 의사결정시에 흔히 범하기 쉬운 실수 중 하나로 다른 사람들도 자신과 같은 생각을 하고 있다고 착각하는 현상을 말한다. 즉, 과도하게 자신의 생각과 판단을 일반화하여 남들도 나와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The False-consensus effect is one of the common mistakes that leaders make when making decisions, and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others misunderstand that they are thinking the same way. In other words, they think that ot.. 2021. 11. 4. 실험자 또는 기대 편향 (Experimenter's or Expectation bias)의 뜻과 예시 실험자 또는 기대 편향 (Experimenter's or Expectation bias)이란 관찰자의 지각된 기대가 관찰되는 사람들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연구자의 존재가 연구 참여자의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연구의 맥락에서 사용된다. Experimenter's or Expression bias indicates how the observer's perceived expectations can affect the observed people. The term is generally used in the context of research to explain how the existence of researchers can affe.. 2021. 11. 3. 이전 1 2 3 4 5 6 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