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4

미끼 효과 (Decoy effect)의 뜻과 예시 미끼 효과 (Decoy effect)란 두 가지 선택지를 두고 무엇을 고를까 고민할 때, 제3의 선택지를 제시하면 사람들이 쉽게 선호를 결정하는 심리적 현상을 말한다. The decoy effect refers to a psychological phenomenon in which people easily decide their preferences by presenting a third option when thinking about what to choose with two options. 예를 들어 2000만 화소 카메라가 달린 스마트폰 A(100만 원)와, 1000만 화소 카메라가 달린 스마트폰 B(50만원)이 있다고 하자. 소비자들은 고성능 제품을 비싼 값에 살 것인지, 성능이 떨어지더라도 저렴한.. 2021. 10. 27.
지식의 저주 (Curse of knowledge)의 뜻과 예시 지식의 저주(Curse of knowledge)란 어떤 개인이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할 때 다른 사람도 이해할 수 있는 배경을 가지고 있다고 자신도 모르게 추측하여 발생하는 인식적 편견이다. Curse of knowledge is a cognitive bias that arises from unknowingly speculating that an individual has a background that others can understand when communicating with others. 2007년 스탠퍼드대학교 칩 히스(Chip Health) 교수와 동생 댄 히스(Dan Health)가 『Made to stick』 저서를 출간했다. 그 책에서 ‘지식의 저주’라는 개념을 이야기했다. 이에 .. 2021. 10. 26.
대비 효과 (Contrast effect)의 뜻과 예시 대비효과(Contrast effect)란 서로 다른 성질의 것을 나란히 놓았을 때, 어느 하나가 더 크거나 작게 또는 더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효과를 말한다. 즉, 뭔가 추하고 값싸고 부족한 것을 뒤이어 보여주면 앞에 본 것이 더 아름답다거나 더 값지다거나 더 크다는 식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Contrast effect refers to the effect of one being revealed larger, smaller, or more prominently when placed side by side with different properties side by side. In other words, if you show something ugly, cheap, and insufficient afterw.. 2021. 10. 24.
결합 오류 (Conjunction fallacy)의 뜻과 예시 결합 오류 (Conjunction fallacy)란 단일 사건의 발생 확률이 실제로 더 높음에도 불구하고 두 사건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의 확률을 더 높다고 생각하는 것을 말한다. Conjunction fallacy refers to thinking that the probability of two event occurring at the same time is higher even though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 single event is actually higher. 독립적인 두 사건이 함께 일어날 확률은 두 사건이 일어날 확률의 곱이므로 어느 한 사건의 확률보다 클 수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결합 사상의 확률을 더 높게 추정하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The .. 2021. 10. 23.
확증 편향 (Confirmation bias)의 뜻과 예시 "인간은 자기가 보고 싶다고 생각하는 현실밖에 보지 않는다" "Humans only see the reality that they want to see." - 율리우스 카이사르 - - Gaius Julius Caesar - 확증 편향 (Confirmation bias)이란 자신의 견해에 도움이 되는 정보만 (그것의 사실 여부를 떠나) 선택적으로 취하고, 자신이 믿고 싶지 않은 정보는 외면하는 성향을 말한다. 다른 말로 자기 중심적 왜곡(myside bias)이라 부르기도 한다. Confirmation bias refers to the tendency to selectively take only information that is helpful to one's opinion (regardless of wh.. 2021. 10. 21.
클러스터 착각 (Clustering illusion)의 뜻과 예시 클러스터 착각 (Clustering illusion)이란 동일한 사건이 연속해서 일어나는 경우, 우연히 발생한 사건임에도 어떤 의미와 인과관계를 찾으려고 하는 현상을 말한다. Clustering illusion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the same event occurs in a row and tries to find a causal relationship with a meaning even though it occurs accidentally. 인간에게는 어떤 결과가 나오든 거기에서 분명한 원인을 찾으려고 하는 성향이 있어서 원인이 분명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어떤 식으로든 확실한 원인을 만들어내려고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It is a phenomenon th.. 2021. 10. 2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