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움-쉬움 효과 (Hard-easy effect)란 우리가 어려운 것으로 인식되는 과제에서 성공할 확률을 과대평가하고, 쉬운 것으로 인식되는 과제에서 성공할 확률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을 말한다. 이는 판별력 효과 또는 난이도 효과라고도 알려져있으며 , 난이도에 따라 과제를 완수하는 우리의 능력을 잘못 예측할 때 발생한다.
The hard-easy effect refers to the tendency of us to overestimate the probability of success in tasks that are perceived as difficult and underestimate the probability of success in tasks that are perceived as easy. This is also known as the discriminant effect or the difficulty effect, and occurs when we incorrectly predict our ability to complete tasks according to the difficulty.
예를들어, 어떤 사람이 운전하는 법을 배우고 있다고 상상해 보자. 면허를 따려면 필기시험과 도로주행(실기)을 모두 이수해야 한다. 필기시험은 대부분 지식에 기반을 둔 반면 도로주행시험(실기)은 실력과 지식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면허 취득에 더 어려운 요소이다.
For example, imagine that someone is learning how to drive. To obtain a license, you must complete both written tests and road driving (practical skills). While most written tests are based on knowledge, road driving tests (practice) are more difficult factors to obtain licenses because they are based on skills and knowledge.
하지만 어려움-쉬움 효과(Hard-easy effect)에 따르면 그 사람은 운전면허시험 합격 능력에 대해서는 과신하고 필기시험 합격 가능성에 대해서는 자신감이 부족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그 사람은 운전 연습을 거의 하지 않고 필기 과제를 위한 공부에 모든 시간을 집중하게 된다. 시험 당일에는 어렵게 출제된 효과로 필기시험에 합격하기 쉬웠을지 몰라도 운전 실력에 대한 자신감이 너무 강했기 때문에 운전면허 시험에서 탈락하게 될 것이다.
However, according to the Hard-easy effect, the person will be overconfident about his or her ability to pass the driver's license test and lack confidence in the possibility of passing the written test. As a result, the person hardly practices driving and focuses all his time on studying for the writing assignment. On the day of the test, it may have been easy to pass the written test due to the difficult effect, but you will fail the driver's license test because you were too confident in your driving skills.
우리가 알고 있는 쉬운 일과 어려운 일에 대한 정보의 불균형이 어려움-쉬움 효과(Hard-easy effect)의 원인일 수 있다. 어려운 문제의 경우 주제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답에 어긋나는 증거를 떠올릴 가능성이 적지만, 문제가 쉬울 때 주제에 대해 더 많이 알 수 있고, 답에 어긋나는 증거를 내놓을 수 있어 자신감이 떨어질 수 있다.
The imbalance of information about easy and difficult tasks we know may be the cause of the hard-easy effect. Difficult problems are less likely to come up with evidence that goes against the answer because of their lack of knowledge of the subject, but when the problem is easy, they can know more about the subject and come up with evidence that goes against the answer, which can lead to less confidence.
- 출처 : Hard–easy effect - Wikipedia Hard-easy Effect - The Decision Lab
- 혼자 공부하고 있어서 확실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It may not be clear because I am studying alone.
- 틀린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If there is anything wrong, please let me know in the comments.
'성장기록 > 심리학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대적 매체 효과 (Hostile media effect)의 뜻과 예시 (3) | 2022.02.03 |
---|---|
사후 과잉 확신 편향 (Hindsight bias)의 뜻과 예시 (0) | 2021.11.27 |
도박사의 오류 (Gambler's fallacy)의 뜻과 예시 (0) | 2021.11.16 |
빈도 환상 (Frequency illusion)의 뜻과 예시 (0) | 2021.11.14 |
프레이밍 / 액자효과 (Framing effect)의 뜻과 예시 (0) | 2021.1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