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보건소녀입니다 :)
오늘은 운동과 유방암, 대장암 발병률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이 논문은 신체활동의 총량과 암 질병 발병률 & 사망률 사이에 용량 반응이 있는지,
만약 그렇다면 예방을 위한 적절한 용량-반응은 어떻게 되는지를
알아내는 것이 목적인 논문입니다.
*용량-반응(dose-response) : 용량(강도, 빈도, 지속 시간)이 증가할수록
신체의 반응(피로, 손상, 적응)이 달라지는 것.
운동량과 신체반응을 수치화하여 표현하는 개념.
아래는 대장암과 신체활동의 관계에 대한 내용으로,
높은 신체 활동 그룹과 낮은 신체 활동 그룹의
대장암 상대 위험도를 알려주는 그래프에요.

보시면 가운데 1,0 기준으로 값이 아래에 있을 수록
대장암 감소에 효과가 있다는 것인데
대부분이 아래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운동을 많이 한 그룹의 대장암 위험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래는 운동강도에 따른 대장암 위험 감소를 알 수 있는 그래프로,
맨 왼쪽은 남자, 가운데는 여자, 맨 오른쪽은 운동강도를 나타내고 있어요.

이 또한 1,0보다 낮을수록 위험을 감소시켜준다는 뜻인데,
남자를 보시면 Hard에서 아래쪽에
동그라미가 많은 걸 보실 수 있고
여자에서는 Moderate & Hard
둘 다에서 많은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맨 오른쪽을 보시면, 아래로 떨어져있는 동그라미가
위에있는 동그라미보다 더 강도가 세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오른쪽으로 갈 수록 운동 강도가 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저희는
1. 운동이 대장암 위험을 감소시키며
2. 힘들게 운동할수록 더 효과가 좋다
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 두 그래프는 유방암과 신체활동의 관계에 대한 내용으로,
대장암과 같은 방식으로 해석가능해요.
A에서 1,0 기준으로 값이 아래에 많으니
신체활동이 유방암 감소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고
B를 보시면 남자에서는 값이 조금 애매하지만
여자에서는 운동을 많이할수록
동그라미가 아래로 떨어지는 모습을 보실 수 있고
맨 오른쪽에서도 높은 강도에서
동그라미가 아래에 있는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다음 논문은 유방암과 대장암 생존자들에게
운동(신체활동)이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입니다.
쉽게 말하면, "암을 진단받기 전후로 운동을 하면 생존율이 올라갈까?"에 대해
알아본 연구에요.

이 그래프는 운동과 전체사망률(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운동을 많이 한 그룹과 적게 한 그룹의
상대적 위험도를 비교했을 때,
✅ 유방암의 경우
진단 전 운동 : 사망 위험 23% 감소
진단 후 운동 : 사망 위험 48% 감소
✅ 대장암의 경우
진단 전 운동 : 사망 위험 26% 감소
진단 후 운동 : 사망 위험 42% 감소
임을 알 수 있어요.

이 그래프는 운동과 암으로 인해
사망할 확률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위에 있는 그래프는 모든 사망 원인을 포함한 생존율을,
이 그래프는 암으로 인해 사망할 확률만 분석한 그래프에요.
이 그래프도 형광펜으로 칠한 부분만 보시면,
✅ 유방암의 경우
진단 전 운동 : 23% 감소
진단 후 운동 : 28% 감소
✅ 대장암의 경우
진단 전 운동 : 25% 감소
진단 후 운동 : 39% 감소
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 표는 운동량에 따른 사망 위험 감소율을 분석한 결과인데,
운동량을 5MET, 10MET, 15MET/week 단위로 증가시킬 때
전체 사망률과 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얼마나 줄어드는지를 분석한 결과입니다.
표를 보시면
진단 전/후에 상관없이 운동량이 증가할수록
사망 위험이 점진적으로 감소한다는 것을 보실 수 있어요.
+
5MET : 중강도로 일주일에 약 1-2시간정도 운동
10MET : 중강도로 일주일에 약 2-3시간정도 운동
15MET/w : 중강도로 일주일에 약 3-4시간정도 운동
결국 두 논문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 운동이 대장암/유방암 위험을 감소시키며
= 운동량이 증가할수록 사망률이 감소한다
는 것이고
심지어 두 논문 중 아래의 논문에서는
진단 전 운동보다 진단 후 운동이
사망률을 감소시킬 확률이 크기때문에
(진단 전과 비교했을 때)
암진단을 받았더라도 운동을 하는게
굉장히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그러니 오늘부터라도 중강도 운동을
(ex. 빠르게 걷기, 탁구, 가벼운 자전거타기, 요가 등)
하루에 30-40분씩 시작해볼까요? 😊
집에서 할 수 있는 운동을 원하시는 분들은
밑에 첨부한 영상 보면서 따라해보셔요 💪🏻
https://youtu.be/Gx2WI9AGJKo?si=OsFnjj9jdpa60Xp4
https://youtu.be/3q1tFvViL_4?si=_P-UhStMBVPJzmqF
https://youtu.be/rkXEXnBfsbY?si=FBRbIo_hoqvWK6FF
https://youtu.be/4bcmV9kXeD0?si=Yt7OBM8cqim0ZtWw
'정보 공유 > 건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이 암 치료 (화학 요법, 방사선 요법) 중과 후에 미치는 영향 (0) | 2025.03.18 |
---|---|
암 생존자를 위한 암 유형별 운동가이드라인과 운동 권장량 (0) | 2025.03.16 |
운동이 정말 암 예방에 도움이 될까? (0) | 2025.02.27 |
암 환자가 운동을 해야 하는 이유 - 1편 (0) | 2025.02.21 |
운동은 유방암 환자의 림프부종에 안 좋을까 ? (0) | 2025.0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