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장기록/심리학의 이해

신념 편향 (Belief bias)의 뜻과 예시

by 곤 2021. 10. 14.
728x90
반응형

 

 

 

 

사람들은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믿을만하다고 생각되는 대상에 대해서는 논리와 타당성 유무에 관계없이 긍정적인 판단을 한다. 그러나 대상에 대한 신뢰가 없을 때는 눈앞에 증거가 있어도 그 사실을 받아들이고자 하지 않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바로 신념 편향(Belief bias)라고 한다.

People make positive judgments about objects that they think are reliable in light of their experiences, regardless of logic and validity. However, when there is no trust in an object, there is a tendency not to accept the fact even if there is evidence in front of it, which is called Belief bias.

 

 

 

즉, 신념 편향(Belief bias)이란 어떤 사실에 대한 평가를 할 때 그 사실을 자신의 사전지식이나 신념에 비추어 판단하고 혹시 모순된다는 생각이 들면 그 사실을 자신의 신념이 유지될 수 있는 방향으로 해석하는 논리적이지 못한 심리를 말 한다.

In other words, Belief bias refers to an illogical psychology that judges a fact in light of one's prior knowledge or beliefs when evaluating a fact and interprets it in a way that one's beliefs can be maintained if one feels contradictory.

 

 

 

 

 

예를 들면 , 소비자 A는 나이키가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어있다는 사전지식과 스포츠에는 나이키가 좋다는 호의적인 신념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For example, suppose that consumer A has prior knowledge that Nike is ergonomically designed and a favorable belief that Nike is good for sports.

 

 

소비자 A가 “나이키는 탄력이 좋은 운동화”라는 광고에 노출된다면 자신이 가지고 있던 사전지식에 의해 ‘일반적으로 탄력이 좋은 운동화는 척추건강에 좋다’는 추론과 함께 ‘나이키는 훌륭한 운동화이다’라는 결론을 가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소비자 A는 “나이키는 탄력이 좋은 운동화”라는 광고주장의 타당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게 될 것이다. 즉 소비자 A는 사전지식과 신념에 의해 이미 결론을 내린 상태이기 때문에 논리적인 추론을 할 필요도 없이 광고주장을 받아들인 것이다.

If consumer A is exposed to the advertisement "Nike is a good elastic sneaker," he will conclude that "Nike is a good sneaker" with the inference that "generally elastic sneakers are good for spinal health" based on his prior knowledge. Therefore, consumer A will positively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advertisement claim that "Nike is a sneakers with good elasticity." In other words, consumer A has already concluded based on prior knowledge and beliefs, so it accepted the advertising argument without having to make logical reasoning.

 

 

 

 

 

삼단 논법을 활용하여 잘못된 예를 볼 수있다. 

A wrong example can be seen using the syllogism.

 

 

전제 1 : 모든 새는 날 수 있다.
Premise 1: All birds can fly.


전제 2 : 비둘기는 날 수 있다. 
Premise 2: Pigeons can fly.


결론 : 비둘기는 새이다. 

Conclusion: Pigeons are birds.

 

 

 

 

 


만약 비둘기가 새라는 것을 안다면, 사람들은 이 주장이 논리적으로 타당하다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 주장은 사실 논리적으로 타당하지 않다. 왜냐하면 새와 비둘기 모두 날 수 있다는 것이 비둘기가 반드시 새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곤충과 같은 다른 종류의 동물들도 날 수 있다. 게다가, 모든 새들이 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 주장의 첫 번째 전제는 틀렸다.)

If you know that pigeons are birds, people may think this argument is logically valid. However, this argument is not logically valid. This is because the fact that both birds and pigeons can fly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pigeons are birds. (For example, other types of animals, such as insects, can also fly.) Moreover, the first premise of this argument is wrong because not all birds can fly.)

 

 

 

 

 

 

- 출처 : 소비자의 신념편향이 제품추론과 광고메시지 타당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 (kisti.re.kr) Belief Bias: When People Rely on Beliefs Rather Than Logic – Effectiviology 

- 혼자 공부하고 있어서 확실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It may not be clear because I am studying alone.

- 틀린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If there is anything wrong, please let me know in the comments.

728x90
반응형

댓글